DIA ETF 기본소개
DIA ETF는 1998년 미국의 State Street에서 출시한 월배당 다우지수 추종 ETF로 미국의 대표 우량기업 30개를 선정하여 투자하는 ETF입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FT), 비자(V), 맥도널드(MCD)등이 있습니다.
1. 기본정보
▪ 운용사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스테이트 스트리트)
▪ 출시일 : 1998년 01월
▪ 운용규모 : 285억 달러(2022년 08월 기준)
▪ 운용수수료 : 0.16% (평균보다 조금 낮은 편)
▪ 시가배당률 : 1.6% (2022년 08월 기준)
▪ 배당일 : 월배당(1월~12월)
2. 운용 목적
DIA ETF의 운용 목적은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 를 추종하는 것입니다.
이를 추종하기 위해 DIA ETF는
▪ 다우지수를 추종
등을 분석하여 30개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다우지수란?
다우존스 기업에서 발표한 미국의 우량한 기업들의 모임입니다.
나스닥, S&P500 지수와 같은 미국의 대표지수 중 하나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지수입니다.
각 섹터별로 가장 우량하고 거대한 기업들 30개를 추려서 뽑은 지수로 S&P500의 종목수보다는 적어 시장 자체를 보여준다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지수들이 선택한 시가총액 가중지수(S&P500)와는 다르게 주가 가중지수로 주식들의 가격이 높을 수록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럼에도 긴 시간동안 좋은 성과를 낸 미국의 대표지수입니다.
위 사진은 약 120년간의 다우지수 차트입니다.
3. 포트폴리오(2022년 8월 기준)
2022년 8월 기준 DIA 포트폴리오 탑10 종목입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주식들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UNH : UnitedHealth Group Inc (유나이티드헬스그룹)
1977년 창립한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미국의 의료서비스 기업으로 건강 관리 제품 및 보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여러 사업분야가 있는데 50세 이상의 개인에 대한 건강 및 웰빙 서비스, 예방 및 건강 관리 서비스, 구매 및 임상을 포함한 약국 관리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공등이 있습니다. 현 시가총액 4500억달러로 굉장히 거대한 기업입니다. 당장의 배당률은 1.2%로 낮은 편에 속하지만 최근 5년 배당성장률이 18% 이상이며 한주당 가격이 500달러 이상으로 약 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GS : Goldman Sachs Group Inc (골드만삭스 그룹)
1869년 설립된 골드만삭스 그룹은 대표적인 미국의 다국적 투자은행으로 투자업무, 증권업무, 투자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융업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인공지능과 자동화 산업을 발전시켜 IPO업무 또한 대부분이 자동화 된 상태입니다.시가총액 1100억달러(약 147조)의 초거대 투자기업으로 전세계 주요 금융센터에 거점을 운용하고 있는 150여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기업입니다. 시가 배당률은 약 3.05%이며 한주당 가격이 330달러정도이며 약 6.67%인 두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HD : Home Depot Inc. (홈디포)
1978년 설립된 미국의 가정집 인테리어, 조경, 조명과 가구나 건축자재, 바닥, 타일, 정원부터 시작해서 가전, 가구, 제품, 설비등 다양한 제품을들 판매하는 업체입니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등 다양한 지역에서 2,300여개의 매장을 운영중이며 건자재(건축자재나 조명 등), 데코(바닥, 주방 등), 하드라인(실내/실외 정원 등) 특정 분야에 쏠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골고루 매출을 발생시키는 점은 굉장히 안정적으로 보이며 꾸준히 성장하는 매출과 영업이익,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은 무려 18%로 굉장히 우수한 모습입니다. 한주당 가격은 300달러로 6.14%로 세번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윈도우와 오피스시리즈로 유명한 마이크로소프트(MSFT), 누구나 즐겨먹는 맥도널드(MCD), 비자카드(V), 다국적 바이오 제약회사 암젠(AMGN), 다국적 복합기업 허니웰(HON), 스포츠 의류 기업 나이키(NKE), 필수 생활용품 대장주P&G(PG)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DIA의 섹터별 비중입니다.
1.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 : 약 21%
2. Health Care 헬스케어 : 약 21%
3. Financials 금융 : 약 15%
4. Consumer Discretionary 경기소비재 : 약 13%
5. Industrials 산업재 : 약 14%
6. Consumer Staples 필수소비재 : 약 7.6%
골고루 분산되어 투자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배당성장률(2022년 8월 기준)
2012년 부터 현재까지 배당성장률 그래프입니다. 꾸준히 배당금도 성장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만 2020년 약간 주춤한 모습입니다.
1998년 부터 현재까지의 매년 배당금 내역입니다. 2001년, 2009년, 2010년, 2020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성장한 모습입니다.
다만 조금 아쉬운 부분은 매월 지급되는 배당금액(표의 맨 오른쪽 금액)이 일정하지 못한 모습입니다.
1월 4월 7월 10월에 배당금을 지급하는 종목이 보유종목 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어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5. 주가성장
DIA가 출시 되고 난 이후부터 백테스팅 토탈리턴 결과입니다. 조건은 이렇습니다.
▪ 초기투자금은 50,000달러
▪ 매달 1,250달러씩 적립식 투자
▪ 배당금은 매달 재투자
▪ 파랑색 : S&P500 ETF(SPY)
▪ 빨강색 : DIA ETF
- 결과
▪ 처음부터 끝까지 비슷한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 코로나 이전까지의 수익률은 DIA가 더 높습니다.
▪ 코로나 이후 비교적 많은 기술주들 포함한 S&P500의 성장이 강한 모습입니다.
위 사진은 동일한 조건으로 2012년 부터 백테스팅 한 기록입니다. 확실히 SPY의 성장률이 더 강력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당시 하락폭도 SPY가 더 강한 방어를 한 모습입니다. (큰 차이는 없습니다)
6. 장단점과 마무리
장점
▪ 투자자들이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우량하고 잘 나가는 종목들을 매번 찾아내 투자해준다.
▪ 높지 않은 수수료를 가진 월배당 ETF
▪ 높은 안정성
▪ 생각보다 높은 수익률
단점
▪ 지수 산정방식과 종목의 수
▪ 시가총액이 아닌 주가 가중방식
▪ 일정하지 못한 배당금액
운용사와 출시일, 운용규모 모두 믿을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유종목을 가진 지수에 투자하면서 적은 수수료로 월배당까지 챙길 수 있는 ETF입니다. 다만 시가총액이 아닌 주가 가중방식은 조금 아쉬운 모습입니다.
'주식 > 미국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배당주 ETF] SCHD vs DGRO vs VIG 배당성장 ETF 비교 (0) | 2022.07.14 |
---|---|
[미국 배당 ETF] 헬스케어 종목에 투자하는 ETF - XLV ETF (0) | 2022.07.07 |
[미국 배당주 ETF] 25년 이상 배당성장한 배당주 ETF - NOBL ETF (0) | 2022.05.17 |
[미국 배당 ETF] 블랙록 고배당 우량주 ETF - HDV ETF (0) | 2022.05.17 |
[미국 배당 ETF] 월배당 10년 연속 배당증가 ETF - PEY ETF (0) | 2022.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