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미국 ETF

[미국 배당 ETF] 블랙록 고배당 우량주 ETF - HDV ETF

by 배당농사꾼 2022. 5. 17.
반응형

HDV ETF 기본소개

출처 : BlackRock - Ishares 홈페이지

HDV ETF는 가장 큰 규모의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에서 운용중인 고배당ETF입니다. 수수료도 0.08%로 낮은편이며 미국의 대표적인 고배당 우량주들로 구성된 ETF입니다.

 

 

 

 

1. 기본정보

▪ 운용사 : BlackRock (블랙록)

▪ 출시일 : 2011년 03월 29일

▪ 운용규모 : 127억 달러(2022년 05월 기준 - 약16.6조)

▪ 운용수수료 : 0.08% (패시브 펀드 치고 낮은 수준)

▪ 시가배당률 : 2.85% (2022-05-27 기준)

▪ 배당일 : 3월, 6월, 9월, 12월

 

 

 

 

 

2. 운용 목적

출처 : BlackRock - Ishares 홈페이지
출처 : Morningstar

VIG ETF의 운용 목적은 'Morningstar Dividend Yield Focus Index' 를 추종하는 것입니다.

 

이를 추종하기 위해 HDV ETF는

 

▪  미국의 고품질 우량주들중에

▪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주들

▪  주식의 수익률 보다는 배당금 금액에 따른 가중치 부여

▪  리츠는 제외

 

등을 분석하여 상위의 약 75개 기업에 분산투자하고 있습니다.

 

쉽게 미국 고배당 우량주들만 모아놓은 ETF라고 생각됩니다.

 

 

 

 

 

 

3. 포트폴리오(2022년 5월 기준)

출처 : BlackRock - Ishares 홈페이지

2022년 5월 기준 HDV 포트폴리오 탑10 종목입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주식들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XOM : Exxon Mobil Corp (엑슨 모빌)

1999년도에 합병된 미국의 석유회사로 한때는 시가총액 1위였던 세계 최대 석유회사였습니다. 코로나때 에너지주들이 모두 굉장히 힘든 모습을 보여주었고 배당금 삭감 혹은 중단을 예상했지만 엑슨 모빌은 코로나로 힘든 와중에도 주주들과의 약속을 지키기위해 배당금을 지급하였고 결국 38년동안 연속해서 배당금을 지급한 기업이 되었습니다.

결국 현재는 주가저점 대비 약 3배가 상승하였고 배당금또한 인상하였습니다. 하지만 배당성장률 자체는 낮은 편에 속합니다. (최근 5년 약 3%)

 

▪  ABBV : Abbvie Inc (애브비)

2013년 설립된 미국의 바이오 제약회사로 Abbott(ABT)에서 분사되었습니다. ABT와는 다르게 연구 기반 제약 제조업체로 류마티스 관절염에 사용되는 휴미라의 특허를 가진 기업입니다. 이 특허의 만기로 인해 매출 우려가 있었지만 최근 린버크와 스카이리치로 매출을 성장시키고 있으며 휴미라의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는 발표가 있어 안정적인 제약주로 보입니다. 배당성향이 무려 42%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이며 49년간 배당금을 성장시켜 곧 배당킹 종목이 될 예정입니다.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은 무려 17.5%로 굉장히 높은 모습입니다.

 

▪  JNJ : Johnson & Johnson (존슨앤드존슨)

1886년 창립하여 아주 긴 시간동안 꾸준히 성장하는 미국의 의료기기,제약회사입니다.굉장히 유명한 브랜드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데 존슨즈베이비, 클린앤클리어, 뉴트로지나, 아큐브, 타이레놀, 니조랄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수 많은 시장의 폭락에도 쉬지않고 59년간 배당성장을 한 굉장한 기업이며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은 5.8%정도로 준수한 수준입니다.

 

그 외에도 석유회사 셰브론(CVX), 최대 투자은행 제이피모건체이스(JPM), 미국의 통신기업 버라이즌(VZ), 담배회사 필립모리스(PM), 1891년에 설립된 제약회사 머크(MRK), 페브리즈/다우니 의 필수소비재 프록터앤드갬블(PG), 콜라배당킹 코카콜라(KO) 등 전부 오래되고 안정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했던 우량주 위주로 투자되고 있습니다.

출처 : BlackRock - Ishares 홈페이지

또한 HDV 섹터별 비중을 보게 되면 알 수 있듯 특정 섹터에만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기업이나 특정섹터에 과중하여 투자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1. 헬스케어 : 23.3%

2. 에너지 : 19.7%

3. 필수소비재 : 17.5%

4. 금융 : 10.3%

5. 유틸리티 : 8.4%

6. 정보기술 : 7.7%

 

배당주ETF 중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헬스케어 종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ETF입니다. 

대부분은 필수소비재나 금융같은 섹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곤 했는데 1위가 헬스케어, 2위가 에너지로 확실히 오래되고 우량한 고배당주들 위주로 투자중인 모습입니다.

 

TOP 10 기준

헬스케어 : 16.35% (ABBV, JNJ, MRK)

에너지 : 14.28% (XOM, CVX)

 

 

 

 

 

4. 배당성장률(2022년 5월 기준)

출처 : Seekingalpha

HDV ETF의 배당성장률입니다. 2012년 이후로 꾸준히 성장중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오히려 전년도 보다 배당금이 적게 지급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Seekingalpha

꾸준히 배당금은 성장하는 모습이며 중간에 배당금이 줄어든 이유는 리벨런싱을 통해 고배당주들의 비중이 낮아진 이유로 보입니다. 다만 2016년을 기준으로 2015년과 2017년 굉장히 높은 수치로 배당성장이 이루어진것은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성장일로부터 현재까지의 배당성장률은 연평균 약 7.5%입니다.

 

 

 

 

5. 주가성장

출처 : Portfoliovisualizer

HDV가 출시 되고 난 이후부터 백테스팅 토탈리턴 결과입니다. 조건은 이렇습니다.

 

▪  초기투자금은 50,000달러

▪  매달 1,250달러씩 적립식 투자

▪  배당금은 매달 재투자

▪  파랑색 : S&P500 ETF (SPY)

▪  빨강색 : HDV ETF

 

- 결과

▪  모든 구간에서 SPY의 수익률이 우세합니다.

▪  배당금에 대한 세금이 미포함된 데이터로 실제로는 더 큰 격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고배당 우량주들의 모임인 HDV가 코로나때 더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에너지섹터의 큰 비중으로 인한것으로 예상)

출처 : Portfoliovisualizer

이 벡테스팅은 HDV와 SCHD, VIG의 비교로 조건은 위의 조건과 같습니다. 

전체적인 수익률도 SCHD와 VIG에 비해 저조한 모습이며 코로나사태로 인한 하락폭은 오히려 훨씬 큰 모습입니다.

 

수익률 : SCHD > VIG > HDV

방어력 : VIG > SCHD > HDV

 

 

 

6. 장단점과 마무리

장점

▪  투자자들이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우량하고 고배당 종목들을 매번 찾아내 투자해준다.

▪  낮은 수수료

 

단점

▪  생각보다 높지 않은 시가배당률 (2.85%)

▪  낮은 최근 배당성장률 (4.34%)

▪  시장에 악재에 약한 방어력

 

 

 

포트폴리오 종목을 보면 상위종목에 최대 8% 이상의 종목비중은 부정적으로 보입니다. 또한 배당성장률이나 주가수익률도 다른 배당성장ETF에 비해 약한 모습이며 방어력도 만족스럽지 못한 ETF로 보입니다.

 

 

다른 분기별 배당주 보러가기(Clic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