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HD ETF 기본소개
SPHD ETF는 2012년 미국의 Invesco에서 출시한 월배당/고배당 ETF로 저변동성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추천하는
ETF입니다.
1. 기본정보
▪ 운용사 : Invesco (인베스코)
▪ 출시일 : 2012년 10월 18일
▪ 운용규모 : 33억 달러(2022년 05월 기준)
▪ 운용수수료 : 0.3% (평균보다 조금 높은 편)
▪ 시가배당률 : 3.60% (2022-05-27 기준)
▪ 배당일 : 월배당(1월~12월)
2. 운용 목적
SPHD ETF의 운용 목적은 'S&P 500 Low Volatility High Dividend Index' 를 추종하는 것입니다.
이를 추종하기 위해 SPHD ETF는
▪ S&P500 지수에 포함된 종목
▪ 주가 변동성이 낮은 종목
▪ 배당이 높은 종목
등을 분석하여 상위의 50개 기업에 분산투자하고 있습니다.
3. 포트폴리오(2022년 5월 기준)
2022년 5월 기준 SPHD 포트폴리오 탑10 종목입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주식들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WMB : Williams Companies, Inc (윌리엄스 컴퍼니스)
1908년 설립된 미국의 에너지회사로 천연가스 처리 및 운송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의 멕시코만 연안부터 뉴옥시까지 확장하는 천연가스 파이프 라인을 소유 및 운영중입니다. 과거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2005년, 2016년, 배당금을 크게 삭감한 기록이 있습니다. 최근 배당성장은 4년이고 최근5년 배당성장률은 4.3%로 저조한 기록입니다. 시가배당은 5%정도입니다. 다만 최근 5년간 차트를 보면 30달러~35달러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어 '변동성이 적고', '고배당'인 SPHD 포트폴리오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중입니다.
▪ KMI : Kinder Morgan, Inc (킨더 모건)
북미에서 가장 큰 에너지 인프라 회사로 1997년 창립 후 현재는 85,000마일(137,000km)의 파이프라인과 152개의 터미널을 소유 및 운영중입니다. 소비되는 천연가스의 40%를 이동시키는 미국 최대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운영기업입니다.
다만 이 기업도 마찬가지로 2016년 배당금을 크게 삭감한 기록이 있으며 현재는 5년째 배당성장 중이고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이 17%로 굉장히 우수한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가배당률은 6%로 고배당에 속하며 최근 5년간 주가가 2017년 20달러로 시작, 코로나때 폭락 후 2022년 20달러로 회복하는 등 '변동성이 적고', '고배당'으로 두번째로 큰 비중을 가지고 있습니다.
▪ MO : Altria Group, Inc. (알트리아 그룹)
1985년도에 설립된 알트리아그룹(PM은 1847년)은 대표적인 담배회사로 담배외에도 와인이나 대마초, 전자담배회사의 지분도 가지고 있습니다. 말보로로 유명한 필립모리스의 모회사입니다. 최근에 건강과 관련된 흡연율의 감소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50년 연속으로 배당금을 지급한 배당킹에 등급되어있는 회사이며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이 8.3%로 꽤 높은 수치입니다. 현재 배당률도 6.8%로 굉장히 고배당이지만 5년전 80달러였던 주가가 천천히 5년간 빠져 35달러까지 떨어진 후 최근 54달러까지 회복한 모습입니다. 등락이 크지 않고 긴 시간동안 천천히 움직여 '변동성이 적고', '고배당'으로 세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셰브론(CVX)같은 고배당 석유회사, 크래프트 하인즈(KHC) 케찹주, 필립모리스(PM) 담배회사부터
IBM, 애브비(ABBV)같은 제약회사도 보입니다.
대부분이 변동성이 적은 고배당위주로 구성된 모습입니다.
SPHD ETF 의 섹터별 비중입니다. 확실히 변동성이 적고 배당률이 높은 유틸리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필수소비재주, 헬스케어, 리츠, 에너지가 그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중입니다.
4. 배당성장률(2022년 5월 기준)
2012년 부터 현재까지 배당성장률 그래프입니다. 꾸준한 배당성장이라는 느낌보다는 고배당/월배당에 주가변동이 적은 ETF라고 생각됩니다.
2013년~2021년까지 평균적으로 4.5%정도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5. 주가성장
SPHD가 출시 되고 난 이후부터 백테스팅 토탈리턴 결과입니다. 조건은 이렇습니다.
▪ 초기투자금은 50,000달러
▪ 매달 1,250달러씩 적립식 투자
▪ 배당금은 매달 재투자
▪ 파랑색 : S&P500 ETF(SPY)
▪ 빨강색 : SPHD ETF
- 결과
▪ 초기에는 수익률 차이가 거의 없었다.
▪ 코로나 이후 기술주들의 엄청난 성장으로 인해 격차가 벌어졌다.
▪ 저변동을 추구하는 SPHD 치고는 코로나때 방어력이 생각보다 약합니다.
저변동을 추구하는 SPHD의 최대하락폭은 SPY에 비해 약한 모습입니다. (SPY : -19.4% // SPHD : -31%)
코로나때 가장 타격을 받은 에너지산업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그런것으로 파악됩니다.
또한 기술주의 성장으로 최근 차이가 더욱 커진 모습입니다.
6. 장단점과 마무리
장점
▪ 투자자들이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변동성이 적고 고배당종목을 찾아 투자한다.
▪ 월배당이며 고배당 ETF입니다.
▪ 투자하기 편한 주가
단점
▪ 약한 배당성장률
▪ 시장의 폭락에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 상위 포트폴리오 종목들을 보면 알 수 있듯 미래성장종목이 적습니다.
▪ 연평균 약 7%정도의 성장으로 아쉬운 성장률입니다.
월배당이며 고배당인 모습은 좋지만 미래에도 지금과 변함없는 배당률을 보여줄 것으로 보이며 주가성장도 기대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포트폴리오에 있는 종목도 대부분이 미래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당장 월배당과 고배당이 필요한 상태가 아니라면 다른 ETF 들을 추천드립니다.
'주식 > 미국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배당 ETF] 뱅가드 주가성장&배당성장 ETF - VIG ETF (0) | 2022.05.17 |
---|---|
[미국 지수 ETF] S&P500에 투자하는 ETF 비교 분석 VOO IVV SPY SPLG (0) | 2022.05.15 |
[미국 배당주 ETF] 배당성장 필수소비재 모음 ETF - XLP ETF (0) | 2022.05.07 |
[미국 지수 ETF] 나스닥 기술주 위주로 투자하는 - QQQ ETF (0) | 2022.05.02 |
[미국 지수 ETF] S&P500 지수에 투자하는 ETF - VOO (0)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