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미국 개별주

[미국 배당주] 배당킹 제약 헬스케어 애브비 - ABBV

by 배당농사꾼 2022. 10. 3.
반응형

AbbVie(ABBV) 기본소개

애브비(ABBV) 로고

AbbVie(ABBV)는 2013년에 상장된 미국 헬스케어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기존 애벗 래버러토리스(ABT)의 기업분사를 통해 설립되었습니다. 애벗(ABT)는 의료기기, 진단장비를 더 전문으로 할 예정이었고 애브비는 연구 기반 제약 기업으로 운영할 목적으로 분사하였습니다. 애브비(ABBV)의 주요 포트폴리오 제품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휴미라, 휴미라의 특허 만료 이후를 책임질 스카이리치와 린보크, 존슨 앤 존슨과 공동개발한 항암제 임브루비카, 최근 새롭게 인수한 앨러간의 보톡스 등이 있습니다.

 

 

 

1. 기본정보

▪  시가총액 : 2370억달러 (2022-10-03기준 약 340조)

▪  창립일 : 2013년 (ABT의 경우 1888년) 

▪  업종 : 의료 의약품

▪  시가배당률 : 약 4.2% (2022-10-03기준)

▪  배당주기 : 2월, 5월, 8월, 11월

 

 

 

 

2. 배당성장률(2022년 10월 기준)

ABBV가 상장 한 후 현재까지 매년 꾸준하게 배당금을 성장시킨 모습입니다.

출처 : Seekingalpha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이 무려 17%로 굉장히 높은 수치입니다.

물론 최근 2년간은 성장률이 10%정도로 앞으로도 이처럼 높은 수치를 유지 할 수 있을까 싶지만 10%로도 굉장히 만족스러운 수치입니다.

출처 : Google

또한 ABT 포함하여 배당성장년수가 50년으로 배당킹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배당성향 또한 40%대로 안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ABBV 어닝콜(2022)
ABBV 어닝콜(2020)

또한 애브비의 경영진들은 애브비의 부채상환과 배당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 11월 배당금 공시까지 나왔으며 내년 2월 배당금부터 배당금 인상이 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얼마나 배당금이 성장할 지 궁금합니다.

출처 : Seekingalpha

2013년 배당금 1.6달러에서 2022년(사진에는 2021년) 현재 5.64달러까지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3. 주가성장률

출처 : Google

ABBV의 상장 이후 주가 변동입니다. 2018년도에 고점을 찍고 하락하다 최근에 전고점을 돌파한 모습입니다. 코로나 시기에도 큰 하락 없이 빠르게 회복한 모습입니다.

출처 : Portfoliovisualizer

배당 재투자하였을 경우 S&P500 지수와의 비교입니다.

 

▪  초기투자금은 50,000달러

▪  매달 1,250달러씩 적립식 투자

▪  배당금은 매달 재투자

▪  파랑색 : S&P500 ETF(SPY)

▪  빨강색 : Nasdaq 100(QQQ)

▪  노랑색 : 애브비(ABBV)

 

- 결과

▪  전체적인 수익률은 SPY와 QQQ 사이 정도로 보이나 최근 기술주들의 하락에 순위가 바뀌었습니다.

▪  애브비의 최대 하락폭은 -39%로 가장 큰 폭입니다.

▪  변동성의 경우 개별주 특성상 애브비가 가장 컸습니다.

 

출처 : Portfoliovisualizer

위와 같은 조건으로 XLV ETF(헬스케어 섹터 ETF)와 존슨앤존슨(JNJ)와의 백테스팅 결과입니다.

 

▪  파랑색 : XLV ETF(Health Care Select Sector ETF)

▪  빨강색 : 존슨 앤 존슨(JNJ)

▪  노랑색 : 애브비(ABBV)

 

최대하락폭은 역시 XLV와 JNJ가 굉장히 안정적인 모습이지만 수익률은 애브비가 높은 모습입니다.

 

출처 : Portfoliovisualizer

▪  파랑색 : 화이자(PFE)

▪  빨강색 : 머크(MRK)

▪  노랑색 : 애브비(ABBV)

 

코로나 치료제 팍스로비드(Paxlovid)로 엄청난 돈을 벌고 있는 화이자와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를 보유한 머크와의 비교입니다.

 

 

 

 

 

 

4. 안정성

현재 애브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인 어마어마한 매출로 애브비를 먹여살리던 휴미라의 특허만료입니다.

출처 : Google

휴미라의 다양한 적응증 허가 목록입니다. 애브비는 휴미라의 특허 만료를 위해 두가지를 준비하였고 현재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 Google

위 두가지가 휴미라의 빈자리를 체우기 위한 스카이리치와 린보크입니다.

 

출처 : ABBV 10K

위 사진은 애브비의 10K 내 매출 관련 자료입니다. 클릭 시 확대가 됩니다. (아래 표로 요약)

이름 국가 구분 2021 2020 2019
휴미라
Humira
미국 17,330 16,112 14,864
국제 3,364 3,720 4,305
토탈 20,694 19,832 19,169
스카이리치
Skyrizi
미국 2,486 1,385 311
국제 453 205 44
토탈 2,939 1,590 355
린보크
Rinvoq
미국 1,271 653 47
국제 380 78 0
토탈 1,651 731 47

휴미라의 유럽 특허 만료로 인해 2019년 4,305 > 3,720 > 3,364 로 꾸준히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미국 또한 곧 특허만료가 있지만 현재까지는 크게 성장하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특허만료에 대비해 스카이리치와 린보크의 굉장히 빠르고 큰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카이리치의 경우 판상 건선 치료제로 지속적으로 높은 판매량과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전년 대비 시장 성장에 힘입어 2021년에 84% 증가했습니다.

 

린보크의 경우 중등도에서 중증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와 전년 대비 시장 성장의 지속적인 강력한 판매량과 시장 점유율 상승에 힘입어 2021년에 100% 이상 증가했습니다. 순매출은 또한 특정 국제 시장에서 건선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강직성 척추염 치료를 위한 Rinvoq의 최근 규제 승인 및 확장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스카이리치와 린보크 모두 미국과 국제시장 모두 2020년 대비 2021년 2배 가까이 되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출처 : ABBV 10K

마찬가지로 애브비의 10K 중 Hematologic Oncology 분야 입니다.

이름 국가 구분 2021 2020 2019
임브루비카
Imbruvica
미국 4,321 4,305 3,830
협업 수익 1,087 1,009 844
토탈 5,408 5,314 4,674
벤클렉스타
Venclexta
미국 934 804 521
국제 886 533 271
토탈 1,820 1,337 792

임브루비카의 성장률이 점점 감소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나 예상치보다 빠른 성장을 통해 이미 크게 성장한 것으로 아쉽지만 만족스러운 모습입니다.

 

벤클렉스타의 순수익은 주로 1차 CLL, 재발/불응성 CLL 및 1차 AML 환자 치료를 위한 벤클렉스타의 지속적인 확장으로 인해 2021년에 34% 증가했습니다.

 

그 외에도 앨러간 인수로 인해 보톡스 등 기존 앨러간의 포트폴리오가 추가되어 애브비의 약했던 부분이나 휴미라의 의존도를 낮추려는 다양한 노력을 볼 수 있습니다.

 

이름 국가 구분 2021 2020 2019
보톡스
Botox Therapeutic
미국 2,012 1,155 0
국제 439 232 0
토탈 2,451 1,378 0
브레일라
Vraylar
미국 1,728 951 0
국제 0 0 0
토탈 1,728 951 0

보톡스 테라퓨틱의 순 수익은 COVID-19 전염병의 강력한 회복으로 인해 2021년에 75% 증가했습니다. 순매출은 또한 전년도와 비교하여 2021년 전체 기간 동안 Allergan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신 분열증, 양극성 장애 및 양극성 우울증 치료를 위한 Vraylar의 순수익은 더 높은 시장 점유율과 시장 성장으로 인해 2021년에 82% 증가했습니다. 순매출은 또한 전년도와 비교하여 2021년 전체 기간 동안 Allergan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  외에도 얼굴 미용에 사용되는 보톡스(코스메틱), 여성건강제품, 아이케어(EYE CARE)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제품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Allergan 인수는 굉장히 잘한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ABBV 10K

위는 애브비의 순수익 및 영업이익입니다. 

  2021 2020 2019
순수익 56,197 45,804 33,266
영업이익 17,924 11,363 12,983
순이익 11,549 4,622 7,882

다만 현재 부채는 꽤 많은 상태입니다 .이는 2020년 Allergan 인수를 통해 생긴것으로 위에 CEO가 말했듯 애브비의 현재 목표는 부채감소와 꾸준한 배당금성장, 강력한 새로운 파이프라인 생성 중 부채감소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꾸준히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개별주의 경우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포트폴리오에서 소량만 담아가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5. 장단점과 마무리

장점

▪  우수한 포트폴리오를 가진 제약 바이오 기업입니다.

▪  높은 배당성장률과 자사주매입 기록이 장점입니다.

▪  시가 배당률도 높은 편이며 50년 연속 배당금 인상인 배당킹 기업입니다.

▪  과거 데이터상 우수한 주가성장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

▪  개별주 특성상 위험성이 있습니다.

▪  휴미라 라는 애브비의 주력 상품의 특허가 곧 종료됩니다.

▪  높은 변동성과 높은 고점대비하락폭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  미국에 꽤 높은 매출의존도(JNJ 등 타 기업에 비해)

 

 

 

애브비는 우수한 시가배당률과 높은 배당성장률을 기록중인 제약바이오 기업입니다. 현재 휴미라의 특허만료리스크가 존재하지만 이미 시장에서는 선반영된 상태라고 보고 있으며 2월, 5월, 8월, 11월 배당금 지급은 상황에 따라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분기별 배당주 보러가기(Clic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