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배당주 ETF] 매월 배당을 주는 배당성장 ETF - DGRW ETF
DGRW ETF 기본소개
DGRW ETF는 2013년 미국의 WisdomTree에서 출시한 '배당성장' ETF 입니다.
1. 기본정보
▪ 운용사 : WisdomTree (위즈덤트리)
▪ 출시일 : 2013년 05월 22일
▪ 운용규모 : 21억 달러(2022년 05월 기준 - 약2.6조)
▪ 운용수수료 : 0.28% (패시브 펀드 평균)
▪ 시가배당률 : 1.13% (2022-05-27 기준)
▪ 배당일 : 월배당(1월~12월)
2. 운용 목적
DGRW ETF의 운용 목적은 'WisdomTree U.S. Quality Dividend Growth Index' 를 추종하는 것입니다.
이를 추종하기 위해 DGRW ETF는
▪ 미래전망수익추정치
▪ 과거 ROA(자산수익률)
▪ ROE(자기자본 수익률)
▪ 최소 거래량등 기본조건 달성
등을 분석하여 상위의 약 300개 기업에 분산투자하고 있습니다.
3. 포트폴리오(2022년 5월 기준)
2022년 5월 기준 DGRW 포트폴리오 탑10 종목입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주식들을 확인해보겠습니다.
▪ JNJ : Johnson & Johnson (존슨앤드존슨)
1886년 창립하여 아주 긴 시간동안 꾸준히 성장하는 미국의 의료기기,제약회사입니다.굉장히 유명한 브랜드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데 존슨즈베이비, 클린앤클리어, 뉴트로지나, 아큐브, 타이레놀, 니조랄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수 많은 시장의 폭락에도 쉬지않고 59년간 배당성장을 한 굉장한 기업이며 최근 5년간 배당성장률은 5.8%정도로 준수한 수준입니다.
▪ AAPL : Apple Inc (애플)
MAC,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아이팟, 애플TV등 이제는 필수소비재와 같이 전세계사람들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이 기업또한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이 성장주이지만 최근 9년간 꾸준히 배당성장을 하였으며 최근 5년간 9%이상의 배당성장을 하였기때문에 배당성장ETF DGRW에 포함되었습니다. 시가총액 1위 회사에 주가또한 꾸준히 상승중인 기업입니다.
▪ MSFT : Microsoft Corporation (마이크로소프트)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운영체제 윈도우와 파워포인트, 엑셀같은 오피스365, XBOX 게임 등 다양한 사업분야를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성장주라고 보이는 이 기업이 배당성장주에 포함된 이유는 최근 18년간 꾸준히 배당성장을 하였으며 최근5년간 약 9.5%의 배당성장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당장의 시가배당은 1%미만이지만 꾸준히 성장하기에 배당성장 ETF 포트폴리오 3위인 상태입니다.
그 외에도 페브리즈, 다우니, 질레트등으로 유명한 PG(프록터앤갬블), 머크(제약회사),
전세계인들이 즐기는 필수소비재 콜라의 두 업체 PEP(펩시코), KO(코카콜라)와
미국의 담배회사 알트리아그룹(MO), 필립모리스(PM)
같은 유명하고 오래된 배당주라고 불리는 기업들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또한 DGRW 섹터별 비중을 보게 되면 알 수 있듯 특정 섹터에만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기업이나 특정섹터에 과중하여 투자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개별 종목은 5%, 섹터별로는 최대 20%로 비중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4. 배당성장률(2022년 5월 기준)
가장 중요한 DGRW ETF의 배당성장률 그래프입니다.
출시 이후로 꾸준히 배당성장이 이루어지다 2017년도에는 배당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한 모습입니다.
또한 2020년의 경우에는 오히려 전년대비 떨어진 조금은 실망스러운 배당성장률입니다.
다만 2017년>2019년까지 굉장히 높은 수치의 배당성장을 하였기에 전체적인 배당성장률은 10-11%입니다.
5. 주가성장
DGRW가 출시 되고 난 이후부터 백테스팅 토탈리턴 결과입니다. 조건은 이렇습니다.
▪ 초기투자금은 50,000달러
▪ 매달 1,250달러씩 적립식 투자
▪ 배당금은 매달 재투자
▪ 파랑색 : 뱅가드 S&P500 ETF
▪ 빨강색 : DGRW ETF
- 결과
▪ 초기에는 수익률 차이가 거의 없었다.
▪ 코로나 이후 기술주(배당을 주지않고 오로지 성장에 재투자중인)들의 엄청난 성장으로 인해 격차가 벌어졌다.
▪ 최근 기술주들의 하락으로 인해 배당 재투자시 격차가 거의 없어졌다.
참고로 이건 SCHD, DGRO, DGRW 를 비교한 자료입니다.
오랜기간의 데이터가 아니라 참고용으로만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SCHD > DGRW = DGRO
6. 장단점과 마무리
장점
▪ 투자자들이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우량하고 고배당인 종목들을 매번 찾아내 투자해준다.
▪ S&P500 지수와도 배당재투자의 경우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 매달 들어오는 배당금
▪ 투자하기 편한 주가
단점
▪ 당장의 낮은 배당률(고배당이 아닌 배당성장ETF)
▪ 생각보다 높지 않은 시가배당률(약 1.9%)
▪ 다른 배당성장주나 지수추종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수료
운용수수료는 다른 배당성장ETF에 비해 높으며 운용자산은 비교적 작지만 월배당이라는 매력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투자하시는 배당성장ETF중 하나입니다.